월동벌들이 설탕물을 물어다 벌집에 저장한 후 밀개한 모습. 이 정도로 밀개한 먹이장(꿀장)이라야 설사병을 유발하지 않고 안전한 월동을 보장할 수 있는 식량이 된다. 또한 월동시 보은재 역할도 한다. 가장 명심해야 할…
소비 1면당 약 1,000마리 (벌집 3 구멍당 벌 1마리 크기)소비 1면의 벌집수 3,200개
.
(사진 : 아침 온도가 15도 밑으로 떨어지자 벌통 밖으로 쫒겨나 생을 마감하는 수벌들)&…
[화성시에서 2023년 5월 초 촬영] (클릭시 확대)
국립수목원자료 링크
(사진설명 : 1921년 (대정(大正) 10년) 1월 1일 일본이 발행한 조선 양봉 분포도) &…
(…
[사진설명] 3년만에 열린 제 44차 전국 양봉인의 날 & 벌꿀축제 (경북 예천)
[사진설명: 경기도 남부지역 한적한 산속에 놓인 토종벌통의 모습 2022년 9월 초 촬영]…
경기남부 지역(수원, 오산, 용인, 화성시 등)에 2022년 제11호 태풍 '힌남노'(HINNAMNOR)가 지나 간 흔적. 소문 위에 물폭탄이 만들어 졌다. (촬영 - 화성시 남양면 / 크릭시 확…
역대 최악의 태풍으로 기록된 매미, 사라보다 더 센 초대형 태풍이 6일 우리나라에 접근할 것에 대비해 한 양봉인의 손길이 바쁘다. 쇠파이프를 사용해 벌통이 날라가지 못하도록 서로 묶는 작업을 하고 있다. (2022.…
충남 청양의 한 주택 앞에 있는 나무에 수 백마리의 말벌들이 찾아 들었다. (2022년 8월 26일 촬영)(크릭시 확대)
[사진촬영 : 경기도 수원시 외곽에 있는 어느 들깨밭에서] (촬영일시 : 2022.8.8)
[사진촬영 : 경기도 수원시 외곽에 있는 풀밭에서] (사진크릭시 확대)
토봉을 주로 하는 지역에 들어가면 양봉인과 충돌이 벌어진다.
(사진설명 : 7월 무밀기 꿀벌이 찾아 든 바이텍스 (좀목형) 2022년 7월 9일 충남 유구읍 촬영) 우연히 시골 길을 지나 가다가 꿀벌들이 찾…
꿀벌들은 말벌의 공격을 받으면 단체로 덤벼들어 자신의 몸을 비벼 열을 올려 말벌과 함께 죽는다